오늘은 열사들이 그토록 바랬던 내일입니다.
우리를 일으켜 세우는 열사들과 함께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그들은 아직도 우리들의 가슴속에 남아 숨쉬고 있습니다.
출생 | 1961년~1994년 (당시 33세) |
---|---|
사망일 | 1994-02-19 |
약력 | 1961년 1월 7일 서울 출생 1980년 서강대 문과대 입학 1983년 서강대 민주화 시위 주도로 구속 1985년 서울노동운동연합의 대중모임 ‘대나무’에서 활동 1986년 구로 동일기업 노조설립 투쟁으로 구속 1988년 한국민주노동자연합 편집위원 1990년 민족민주운동연구소 노동분과 국제분과 연구원 1991년 서강대 민주동문회 사무국장 1992년~1993년 한국민주노동자연합 홍보부장 1994년 2월 19일 위암으로 운명 |
요약 | 노동운동에 헌신하다 암으로 운명 |
묘역 | 마석 모란공원 민족민주열사묘역 |
홈페이지 | http://sogang.in |
동지는 ‘79년 10.26사태와 12.12 군사쿠데타, 그리고 ’80년 5.18 광주민중항쟁으로 이어지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점차 현실에 눈을 뜨게 되어, 동문선배의 권유로 향린교회 대학부 모임에 참가하면서 사회모순과 지식인의 역할 등이 담겨있는 책들을 접하게 되었고, 2학년 때는 써클 ‘江’에 가입하면서 본격적인 운동권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동지는 졸업정원제, 강제징집 등의 문제와 광주학살의 책임을 물으며 정권퇴진운동을 벌이던 당시에 학내 시위에 가담하면서 ‘요주의 운동권’으로 찍혔다. 4학년에 들어 영장을 받았으나, 군 입대를 하루 앞둔 3월 24일 인문사회관 3층 난관에 올라서서 ‘학우여’를 연발하며 시위를 주도하였다가 구속되어 감옥살이를 하다가 ’83년 12월 석방되었다. 출소한 김상옥 동지는 노동운동을 고민하게 된다. 첫 발을 들여놓은 곳은 농약을 포장하는 회사였고, 지독한 농약냄새를 마셔가며 처음으로 힘든 노동을 하게 되지만 동지는 즐겁게 생활했으며, 우연히 구로공단 내 선진적인 남성노동자들을 양성하는 조직, '대나무'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이후 동일기업에 입사하여 노동조합설립을 위해 싸우다 공문서 위조 혐의로 구속되어 두 번째 감옥생활을 하게 되었다.석방된 뒤 한국민주노동자연합, 남부지역금속노동조합에 참여하였고 다시 철공장에 취업하였으나 작업 중 허리를 다쳐 디스크 수술을 받게 되었다. 그후 민족민주운동연구소, 서강대 민주동문회에서 활동하였으나 위암으로 인해 운명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