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열사들이 그토록 바랬던 내일입니다.
우리를 일으켜 세우는 열사들과 함께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그들은 아직도 우리들의 가슴속에 남아 숨쉬고 있습니다.
출생 | 1971년~1991년 (당시 20세) |
---|---|
사망일 | 1991-05-02 |
약력 | 1971년 11월 4일 서울 출생 1987년 서울 대원고등학교 입학 1989년 참교육을 고민하는 소모임 ‘목마름’결성, 홍보부장 역임 1990년 3월 안동대학교 민속학과 입학 민속학과 학생회 산하 ‘민속문화연구회’를 결성, 초대회장 역임 8월 조국통일 범민족대회 통일선봉대로 참가, 여름 농촌활동 참가 우루과이라운드 반대 경북농민대회에서 마당극 ‘새벽을 밟으며’ 공연 1991년 4월 민속학과 부학생회장, 솔뫼 교지편집위원회 대외사업부장 5월 1일 ‘고 강경대열사 추모 및 공안통치 분쇄를 위한 범안대인 결의대회’ 도중‘공안통치 분쇄, 노태우정권 타도’를 외치며 분신 5월 2일 오후 8시 13분 경북대 의대 부속병원 화상병동 301호에서 운명 |
요약 | ‘공안통치 분쇄, 노태우정권 타도’를 외치며 분신 |
묘역 | 안동대 교내에 가묘 |
홈페이지 | http://www.namhemin.org |
동지는 고등학교 때 교육문제와 사회문제를 고민하는 소모임 ‘목마름’에서 활동하는 등 일찍부터 삶에 대한 치열한 고민을 하였다. 학교 총학생회 선거가 끝나고 서울 집에 다녀온 동지는 눈빛이 더욱 깊어져 있었다. 총학생회 선거에서 지고 허탈한 심정으로 서울에 올라간 동지에게 ’90년 11월 8일 한양대 옥상에서 투신한 최응현 열사의 죽음이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최응현 동지는 동지의 절친한 친구의 형이자 고등학교 때 활동하던 ‘목마름’을 도와주며 마음의 의지가 돼주던 분이었다. 그 후 동지가 자주 하기 시작한 말이 ‘도망갈 곳을 만들면 안 된다’였다. 5월 1일 새벽까지 집회준비를 하고 오전에는 선전을 하고 집회 앞풀이 풍물판에서 북을 치던 동지가 집회 시작과 더불어 불을 달고 뛰어온 것이다.